[스크랩] 모란(牡丹)은 화중왕(花中王)이요 – 김수장
모란(牡丹)은 화중왕(花中王)이요 – 김수장
위에서 ▶ 눌러주세요. 唱 선가 김월하
여창(女唱)가곡(歌曲) 계면조(界面調) 편수대엽(編數大葉)
모란(牡丹)은 화중왕(花中王)이요 – 김수장
모란(牡丹)은 화중왕(花中王)이요 향일화(向日花)는 충신이로다
연화(蓮花)는 군자요 행화(杏花) 소인이라
국화(菊花)는 은일사(隱逸士)요 매화(梅花) 한사(寒士)로다
박꽃은 노인이요 석죽화(石竹花)는 소년이라
규화(葵花)는 무당(巫倘)이요 해당화(海棠花)는 창녀(娼女)이로다
이중에 이화(李花) 시객(詩客)이요
홍도(紅桃) 벽도(碧桃) 삼색도(三色桃)는 풍류랑(風流郞)인가하노라
모란은 겉모습은 화려하나 향기가 없습니다.
모란은 된장녀다.
향일화는 해바라기일 것인데 해바라기는 충신이 아니라 철새정치인이요.
국화는 숨어서 사는 선비 은일사요
매화는 딸깍발이 추워서 벌벌떠는 가난한 선비 한사라네요
박꽃은 흰색이니 노인이라 할 만합니다.
석죽화는 패랭이꽃인데 어떤 점이 소년 같았을까요?
석죽화(패랭이꽃)
규화는 접시꽃입니다. 어디에 무당의 이미지 있는 것인가요? 꽃잎의 주름이 무당의 법당에서 흔히보이는 종이로 만든 연꽃잎을 연상하게 합니다. 그래서일까요?
접시꽃
해당화는 내 눈에도 화사하고 요염해 보입니다.
속살은 희고 겉은 빨갛습니다.
빨간 잠옷 사이 사이에 하얀 속살이 내비치는 여인으로 여겨도 좋습니다.
ㅎㅎㅎ 해당화는 붉은 잠 옷을 걸친 여인입니다.
헐~ 꽃 중의 제일 인 것 같습니다.
해당화야, 이제는 내가 화중왕이로다!
해당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