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남산국악당 금요상설무대 <정가,극 “끌림”>
김영기가곡연구회는 황진이와 조선시대 여인들의 사랑과 그리움을, 21세기를 살아가는 전통가객들의 고민과 삶으로 풀어낸 <정가,극 “끌림”>을 5월 8일 오후 7시30분 서울남산국악당에서 공연한다.
본 공연은 중요무형문화재 제30호 가곡보유자 김영기 명창과 문하생들의 주옥같은 노래에 새로운 극 형식이 가미되어 그동안 볼 수 없었던 보고, 듣고, 느끼는 정가 공연이 될 예정이다.
● 예술감독 제작노트
사람들은 말한다. 정가는 아름다운 노랫말과 실내악이 어우러진 최고의 예술이며 또한 마음을 맑게 정화시켜 주는 이 시대에 꼭 필요한 음악이라고...
하지만 이 시대의 정가를 하는 사람들은 관객과 거리가 멀다는 것이 늘 고민이다
몇 백년동안 면면히 이어온 정가는 우아한 선율의 흐름이 자연속의 휴식과 같고, 그 깊은 소리의 울림은 어머니의 품속과 같은 평안함이 있다. 많은 이들이 잘 모르고 있는 정가는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정신적 휴식을 줄 수있는 고귀한 음악이라 여겨진다.
정가,극 “끌림”은 정가와 극이 만나 관객들이 정가의 매력 속으로 푹 빠져 이끌려 오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만들어졌다.
한국에서 태어나고 자라면서 평생을 통해 정가를 한번도 접해보지 못한 사람들도 많다는 우리의 음악적 환경은 관객과 쉽게 친해질 수 있는 장치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노랫말의 모음을 길게 늘려서 부르는 정가는 곡의 아름다움에도 불구하고 알아듣기가 쉽지 않다. 그래서 영상과 무용을 통하여 시각적 메시지를 전하고, 무대위에 분장실의 상황을 연출하여 대사와 극을 통한 현대 정가인들의 고민과 삶을 얘기한다.
공연의 소재는 일반 관객들에게 많이 알려져 있는 황진이와 관련된 시를 중심으로 가곡∙ 가사 ∙시조∙ 시창 ∙창작가곡 등 정가의 모든 장르를 아우른다
정가,극 “끌림”으로 친근하고 다가가기 쉬운 정가로 거듭나기를 바라며, 관객들에게 정가의 서정성과 기품 있는 아름다움이 오랫도록 가슴에 남기를 희망한다
이러한 새로운 시도를 통해 정가가 현대인의 삶속에 함께 호흡함을 일깨우며, 정가 발전의 다양한 가능성을 시사하여 활기를 불어넣는 의미를 부여하리라 기대해본다.
● 중요무형문화재 제30호 가곡 예능보유자 김영기
김영기 명창은 경주에서 태어나 김월하 선생을 사사했다. 중요무형문화재 제30호 가곡의 예능보유자였던 김월하 선생의 첫 제자로서, 김월하 선생의 뒤를 이어 2001년 가곡의 예능보유자로 지정받았다.
월하여창가곡 보존회 회장으로서 가곡 발전에 여념이 없는 그는 9회의 개인발표회와 다수의 협연 및 해외공연 등의 다양한 공연활동을 하고 있다. 또한 국악방송 국악특강 한국음악시리즈 ‘노래의 향기’ 프로그램의 진행을 맡는 등 다채로운 방법을 통해 가곡의 발전을 위한 지속적 노력을 하고 있다.
김영기 명창은 2007년 김영기 가곡연구회를 조직하여 가곡 및 가사, 시조의 전승 사업에 앞장서고 있다. 현재 서울대, 이화여대, 수원대, 단국대, 추계예대에 출강하여 후학을 양성하고 있다.
그의 노래는 음반 <김영기 여창가곡 Ⅰ‧Ⅱ>와 공연실황을 담은 <둘째바탕>, <세째바탕>, 그리고 <21세기를위한 KBSFM의 한국전통음악시리즈⑲ 한국의 전통음악 시조>를 통해 들어볼 수 있다.
● 프로그램
1. 창작가곡 ‘청초 우거진 골에’ 김희성
2. 시창 ‘봉별소양곡세양’ 김영기
3. 가사 권주가 이현정, 이현서, 장보람
4. 가곡 평거 ‘어져 내일이여’ 박민희
5. 지름시조 ‘마음이 어린 후니’ 김영근
6. 여창지름시조 ‘내 언제 신의 없어’ 김승예
7. 평시조 ‘동짓달’ 김유라
8. 가곡 환계락 ‘사랑을’ 이기쁨
9. 창작가곡 ‘청산은 내뜻이요’ 하윤주, 김영근
10.창작가곡 ‘산은 옛산이로되’ 이아름, 김희성
11. 시창 ‘상사몽’ 김영기, 박희수
12. 평시조 ‘청산리’ 전체 합창
● 출연진
예술감독 김 영 기 / 연 출 원 창 연
출 연 김영기가곡연구회, 반주팀, 객원 가객, 무용
< 공 연 문 의 > 김 유 라 ! ; 010-8274-9713·
김영기의 가곡세계 : cafe.daum.net/KIMYK
'산에들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계산 20110101 (0) | 2011.03.21 |
---|---|
[스크랩] 전국의 장날 (5일장) 위치 날짜 품목 정리 (0) | 2010.06.28 |
북한산 백운대 산행 (0) | 2009.05.05 |
[스크랩] 전국 고속버스 시외버스 터미날 전화번호 안내 (0) | 2009.03.18 |
[스크랩] 짧은 여행의 감동(선운사 단풍) (0) | 2009.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