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정가가객의 미학 정가가객의 미학 신경숙(한성대학교) [한국학연구 10집 고려대학교한국학연구소. 1998.] 1. 정가의 새로운 해석자, 歌者 2. 정가가객의 소리미학 2-1. 다양한 해석차, 가변과 불변구조 2-2. 소리의 무한세계, 시김새 2-3. 一家를 이룬 소리들 3. 정가가객의 삶의 미학: 자유로운 삶의 추구 4. 마무리 1. 正歌의 .. 정가교실 2010.09.02
[스크랩] 가곡 - 김경배 [1994.12.15] 가곡 제25회 중요무형문화재 공연(가무악전1) 일시: 1994.12.15 공연장소: 한국의 집 민속극장 출연: 김경배 *내용 가곡은 시조시(時調詩)를 관현반주(管絃伴奏)에 얹어 오장형식(五章形式)으로 부르는 노래이다. 가곡에는 남창(男唱)과 여창(女唱)의 조(調)가 따로 있고, 우조(羽調)로 된 곡과 계면조(界面.. 정가교실 2010.09.02
우리의 전통음악, 가곡을 아십니까? 우리의 전통음악, 가곡을 아십니까? 중요무형문화재 제30호 김경배 선생, 가곡음반 내놔 ▲ 김경배의 '소하가곡' 음반(신나라, 회장 김기순) 표지 ⓒ 신나라 "불 아니 땔지라도 절로 익는 솥과, 여무죽 아니 먹여도 크고 살져 한 걷는 말과, 길쌈 잘하는 여기첩과 술 샘는 주전자와, 양부로 낫는 감은 암.. 정가교실 2010.09.02
가곡인생 47년-이 시대의 가객-김경배(金景培) 명인 가곡인생 47년-이 시대의 가객-김경배(金景培) 명인 -한국의 전통가곡은 동양뿐 아니라, 세계에서도 그 류(流)를 찾기 어려운 신비로운 예술이다.- 가곡은 여유 있고 격조 높은 노래로 조상들의 얼과 혼이 내면에 깊게 깔려 있으며 일반 음악에서는 찾아 볼 수 없 는 심오한 예술세계가 펼쳐지는 멋을 지.. 정가교실 2010.09.02
[스크랩] 모란(牡丹)은 화중왕(花中王)이요 – 김수장 모란(牡丹)은 화중왕(花中王)이요 – 김수장 위에서 ▶ 눌러주세요. 唱 선가 김월하 여창(女唱)가곡(歌曲) 계면조(界面調) 편수대엽(編數大葉) 모란(牡丹)은 화중왕(花中王)이요 – 김수장 모란(牡丹)은 화중왕(花中王)이요 향일화(向日花)는 충신이로다 연화(蓮花)는 군자요 행화(杏花) 소인.. 정가교실 2010.08.25
단소 악상기호와 장식음 악상기호와 장식음 악상기호는 복잡한 가락을 정간보에 다 표시 하기가 어려워 약속된 기호로 연주 방법을 설명한 것을 말한다. 특히 단소는 빠른 손놀림이 많아 기호와 장식음이 많이 사용된다. 여기서 다 익히려 하지 말고 곡을 연습하다가 기호가 나올 때 찾아보면서 연습하면 나중에는 저절로 알.. 정가교실 2010.05.27
대금 장식음과 부호 장식과 부호 장식음과 부호 민속음악의 대금연주는 정악에 비해 꾸미고 장식하는 경우가 더 많다. 정악의 연주가 깊고 웅장하게 연주된다면 민속음악은 화려하고 아름답게 연주되기 때문이다. 음정의 폭을 크게 하여 꺽어내리거나 밀어올리면서 감칠맛을 내기도 하고 귀곡성과 같이 두세음정을 타고.. 정가교실 2010.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