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봉정가 보존회 20090425
노랫말
모란(牡丹)은 화중왕(花中王)이요, 향일화(向日花)는 충신(忠臣)이로다.
연화(蓮花)는 군자(君子)요, 행화소인(杏花小人)이라,
국화은일사(菊花 隱逸士)요, 매화한사(梅花 寒士)로다
박(朴)곳츤 노인(老人)이요, 석죽화(石竹花)는 소년(少年)이라,
규화무당(葵花巫堂)이요, 해당화(海棠化)는 창기(娼妓)로다
이 중(中)에 이화시객(梨花 詩客)이요,
홍도 벽도 삼색도(紅桃 碧桃 三色桃)는 풍류량(風流郞)인가 하노라.
해 설
모란은 꽃 중의 왕이요, 해바라기는 충신이로다.
연꽃은 군자요, 살구꽃은 소인이로다.
국화는 숨어사는 선비요, 매화는 지조있고 매섭게사는 선비로다.
박꽃은 노인이요, 패랭이꽃은 소년이라
접시꽃은 무당이요. 해당화는 창기로다.
이중에 배꽃은 시인묵객이요,
홍도와 벽도 갖가지 복숭아꽃은 풍류를 즐기는 젊은남자 인가 하노라
시어 및 구절 풀이
- 모란(牡丹) : "모란"은 꽃으로서의 이름이고, "목단"은 한약재로서의 이름이다.
- 화중왕(花中王) : 꽃 가운데 으뜸.
ㆍ 신라 때 설총(薛聰)은 <(花王戒)> 에서 모란을 꽃 중의 왕으로 보았다.
- 향일화(向日花): 해바라기
- 행화소인(杏花小人) : 살구꽃은 소인이다
ㆍ살구꽃이 바람에 흩날리는 모습이 소인처럼 경박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 은일사(隱逸士) : 숨어 지내는 선비. 흔히 국화를 ‘은일사’라 한다.
- 한사(寒士) : 지조를 지키며 가난하게 사는 선비
- 朴(박)곳 : 박꽃. 박꽃은 희기 때문에 ‘노인’에 비유한 것이다.
‘박’을 ‘朴’으로 표기한 것은 음차(音借)의 표기이다.
- 석죽화(石竹花) :패랭이꽃.
- 규화무당(葵花巫堂) : 접시꽃은 무당이다
- 창기(娼妓): 기생, 노는계집
- 이화시객(梨花詩客) : 배꽃은 시를 짓고 읊는 시인
- 홍도(紅桃) : 진홍색 꽃이 피고 열매는 없는 관상용 복숭아나무의 한 가지.
- 벽도(碧桃) : 1) 희고 아름다운 꽃이 피는 복숭아나무의 한 가지.
2) 선경(仙境)에 있다는 복숭아나무.
- 풍류랑(風流郞) ㅡ 풍류를 즐기는 멋스러운 젊은 남자
'정가교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시조(時調)와 시조 창사(唱詞) (0) | 2009.05.02 |
---|---|
발성과 호흡법 (0) | 2009.05.01 |
[스크랩] 편락의 전설 (0) | 2008.11.09 |
[스크랩] 김청만님의 민속악 장구장단 (0) | 2007.04.17 |
우봉 이동규 선생 (0) | 2007.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