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래 잘부르는 법 (고음, 호흡포함)<!--전체공개//-->
♤ 나무젓가락 물기 "목소리야 나와라" ♤
목소리가 안높은 키의 노래에선 나온다구요?
그럼 이렇게 해보세요.
안쪽 이로 나무젓가락의 굵은 부분을 물고 "아~" 하는 것처럼
앞니를 가지런히 모은다.
이렇게 하면 앞니에 힘이 가해져 목구멍의 힘이 빠지게 됩니다.
자연스럽게 목구멍이 열리면서 목소리가 나오기 쉬운 상태가 되는거죠.
♠ POINT ♠
입이 작은 사람은 나무젓가락의 가는 부분만 사용해도 OK !!
나무젓가락을 물고 소리를 내면 보통 때와 다른 소리가 난다.
나무젓가락은 손으로 쥐지 말고 입으로 물고 있도록 합니다..
♤ 휴지 물고 노래하기 "목구멍을 열고 노래를" ♤
나무젓가락을 물고 노래를 부를 수 없으니까... 대신 휴지를 입에 뭅니다.
둥글게 뭉친 휴지의 한가운데 부분을 뭉개지지 않도록 앞니로 물고 노래를 부른다.
목에 힘이 들어가지 않고 열린 상태에서 노랠 부를 수 있다.
뭉클한 휴지의 감촉이 혀끝에 맴돌지만 소리지를 때 기분은 나쁘지 않다.
2단계.입으로 숨쉬지 않기.
♤ 랩으로 입 가리기 "숨이 새나 체크~~" ♤
목소리를 낼 때 숨이 새 나가면 고음을 내기가 어렵다.
숨이 샌다는 것은 내쉬는 숨이 성대를 진동시키지 못하고 단지 공기에 흘려
보내게 된다는 뜻입니다. 랩으로 입주위를 봉하고 "아" 하는 소리를 냈을 때 랩이
날아가 버린다면 이는 숨이 새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 POINT ♠
30cm정도 길이 랩을 준비해서 손으로 랩을 입 속으로 3cm정도 밀어 넣는다.
이렇게 하고 소리를 낼 때 랩이 튀어 나오면 입으로 숨이 새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3단계.정확한 발음 연습
♤ 생수병 물로 소리지르기 "발음도 정확하게" ♤
고음의 목소리를 내기 위해서 앞으로 밀어내는 목소리뿐만 아니라
끌어당기는 목소리도 필요합니다.
이렇게 끌어당기는 목소리를 잘 알 수 없을 때는 생수병을 이용해봅시다.
생수병을 입에 문 채 소리를 내보도록 한다.
내는 목소리 밖에 되지 않는 사람은 고음 내기도 힘들게 마련.
코부터 숨을 내쉬는 것처럼 해서 목소리를 내면 입에서 숨이 새지 않고
"끌어당기는 목소리"가 나오게 된다.
목소리가 나오게 된 사람이라면 "아에이오우"를 반복 연습해본다.
♠ POINT ♠
1.5L 생수병을 준비해서 이빨로 물지 말고 병 입구를 입으로 감싸듯이 문다
숨이 새는 것과 못하는 발음을 알 수 있다.
4단계.울리는 소리 내기
♤ 탁구공을 물고 공명 연습 "울리는 목소리를 내자" ♤
랩과 생수병으로 숨을 새지 않게 하는 방법을 알았다면 목소리를 공명시키는
연습을 해보자. 탁구공을 입에 물고 숨이 입에서 새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아"하고 소리를 낸다. 탁구공을 손가락으로 만져보아 진동을 하고 있다면
목소리가 울리고 있다는 증거. 고음은 앞니의 안쪽 부근에서 울리므로
이 부분을 의식하면서 목소리를 내면 보다 효과적이다.
♠ POINT ♠
탁구공을 이빨로 깨물지 말고 가볍게 문다.
탁구공을 문 채로 노래 연습 시작..^^
2. 허벅지 근육풀기
다리를 어깨 너비만큼 벌리고 허리를 반 듯
하게 세운 후 허앞다리는 살짝 굽히고 뒷다리는 펴준다).
이때 상체가 뒤로 나가지 않게 주의한다.
양쪽 15회 실시
평소에 목이 잘 안 뚫려서 고생들 하시는 분들 많을 꺼에요.
일단. 안 뚫리는 데 있어 선 여러 가지가 있어요.
첫째로 후두염이거나, 목안에 염증이 나서 부어서 그래요.
증세는 이렇죠
- 후두염 : 노래를 부를 때 저음을 불러도 목이 따갑다.
- 목에 염증 : 목에 염증이 나거나 부풀면. 목소리를 낼려고 해도 잘 나오질 않습니다.
- 목 감기 : 목감기가 걸리면. 목소리가 자기 목소리에 비해 가래 끓는 소리가 납니다 .
이러한 증세들이 나타나죠. 무거운 증세는 빨리 병원을 가 보시는 게 좋습니다.
가벼운 증세는 어떠카냐구요?
물을 많이 마시세요. 따뜻한 물이거나. 유자차 같은 차들을 마시는 것도 괜찮습니다.
효과가 뛰어날 겁니다.
그리고 바이브레션은 참으로 힘들죠?
방법은 일단 자기몸을 일직선으로 땅에 눕는다. 벌받는 자세를 취하듯 두다리를 곧게 올리고 상체를
될수있으면 앞으로 쑤그린다.(내민다) 그리곤 입을 벌려 아~~~~~ 소리를 질러보면 배의울림이 전해질 것이다.
처음엔 무지 어렵고 안 될 것이다. 하지만 해 보면 잘 될 것이에요
'정가교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화아 너는어이 ( 이정보 ) (0) | 2009.05.05 |
---|---|
[스크랩] 시조(時調)와 시조 창사(唱詞) (0) | 2009.05.02 |
여창가곡 편수 해설 (0) | 2009.04.30 |
[스크랩] 편락의 전설 (0) | 2008.11.09 |
[스크랩] 김청만님의 민속악 장구장단 (0) | 2007.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