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 발생 위험이 있는 감기약
75개 업체와 167개 제품의 명단
식품의약품안전청이 7월31일 뇌졸중 발생 위험이 있는 감기약에 대한 긴급폐기조처를 발표하면서 사안자체를 축소하려한 게 아니냐는 의혹을 사고 있다.
이번 긴급폐기조처 대상 약은 일반 국민들이 의사의 처방전없이 약국에서 구입하는 감기약으로 복용시 뇌졸중 발생 위험이 있는 등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는 등 민감한 사안임에도 식품의약품안전청이 발표시기를 주말 늦게 잡아 식품의약품안전청이 과연 국민건강을 최우선적으로 는 고려하고 있느냐는 비난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이들 감기약에 들어있는 페닐프로판올아민(PPA) 성분은 뇌졸중의 위험이 있다는 최종 연구보고서가 지난 6월25일 나왔지만, 식약청은 중앙약사심의위원회의 자문을 거친 뒤 한 달이 지난 31일에서야 자료를 냈다.
약품의 폐기도 8월1일부터 시작되 이미 상당수의 국민들이 뇌졸중의 위험이 있는 감기약을 다량 복용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뇌졸중의 위험이 있는 페닐프로판올아민 성분은 이미 지난 2000년 미국에서 확인됐던 것으로 우리 나라에서도 지난 2001년 성분함유량이 일정량 이상(1일 최대복용량 100mg 초과 복합제) 대해서는 사용금지 조처를 내렸었다.
식약청이 이번에 긴급폐기조치를 내린 75개 회사 167가지의 감기약은 유한양행의 콘택600, 부광약품의 코리투살시럽 등으로 이름만 들어도 쉽게 알 수 있는 유명 감기약으로 국민들이 주로 복용하는 알약이나 시럽형태의 약들이다.
한편 식약청은 인터넷홈페이지(kfda.go.kr)에 약품목록을 올려놨지만, 정작 네티즌이 보기 위해서는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넣어야만 볼 수 있게 함으로써 사실상 일반시민들에 대한 접근을 차단했다. 이에 따라 식약청의 홈페이지에서 약품목록은 식약청 담당자가 아니면 볼 수 없다.
식약청의 이같은 태도에 대해 앞으로 적지 않은 비난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75개 업체와 167개 제품의 명단
경남제약(콜스마인캅셀, 코나벤캅셀, 미나코시럽) 고려은단(라스킨에스캅셀, 코프콜캅셀), 광동제약(이지코캅셀, 하디콜플러스정), 구주제약(신콜캅셀), 국전약품(국전염산페닐프로판올아민) 넥스팜코리아(콜루킹캅셀), 녹십자상아 코프러스시럽다림바이오텍(허브콜캅셀), 대우약품공업(코리빈캅셀, 코라벨시럽, 코리베린정, 아투빈에프캅셀) 대웅제약 (지미코정(수출명 NOREX TAB), 콜킹연질캅셀, 콜킥캅셀, 지미코산, 베비코엘릭실), 대원제약(리엔시럽, 원콜정, 리엔정, 원콜엘릭실(수출명 디-콜드엘릭실), 코리엔정), 대화제약(코맥스캅셀), 대흥약품(대흥염산페닐프로판올아민), 동광제약(유나콜연질캅셀, 팡가레이캅셀, 코노바정, 크노바엘릭실, 뚜뚜정, 뚜뚜시럽, 코마코정), 동구제약(코치올정, 코치올엘릭실), 동성제약(콜팩스연질캅셀)메디카코리아(비비연질캅셀, 메디카염산페닐프로판올아민(원료)), 명문제약(메디콜정) 명인제약(아이코정, 스토콜드연질캅셀), 미래제약(데이노즈정), 바이넥스(코라솔정) 바이넥스(코미나정), 보람제약(로짐캅셀), 부광약품(타코나에스시럽, 코리-투살시럽), 삼공제약(밀로바캅셀), 삼남제약(에스엔콜정), 삼성제약공업(지메담시럽, 페로판시럽, 두핑연질캅셀, 판토-티프러스원산, 판코시럽), 삼아약품(코비안정, 코비안엘릭실, 코미안시럽, 코비엔엘릭실), 삼오제약(삼오염산페닐프로판올아민), 삼익제약(노비스정), 삼천당제약(페리코정, 페리코엘릭실), 서울제약(앤콜정, 알텍사정) 세종제약(코렉실엘릭실, 코렉실정), 수도약품공업(펜아민정, 코제시럽, 에코정,콜엔플루연질캅셀, 패스코 연질캅셀, 수도염산페닐프로판올아민), 신신제약(쿨라젤캅셀), 신일제약(투수콜연질캅셀, 꼬야시럽, 삐삐콜정, 이코정, 벤자콜에스시럽, 코린투정), 신풍제약(코이덴시럽, 코이덴정, 바로코정), 쎌라트팜코리아(솔코정, 다이틴캅셀, 솔코정(수출용)), 아남제약(세리펙정), 알앤피코리아(콜그만코프 연질캅셀),에스케이제약(쎄티코프연질캅셀), 에이치팜(디어트정, 코딩시럽, 코딩정), 영일약품공업(골겐연질캅셀, 코콜정), 영진약품공업(콜민정, 콜민엘릭실, 콜민엘릭실, 콜푸민엘릭실), 영풍제약(영풍파노바연질캅셀, 파노콜정), 오리엔탈제약(콜키퍼캡슐),유영제약(비네콜정), 유한양행(콘택코푸캅셀, 콘택600캅셀, 콘택600비과립, 콘택코푸비과립, 콘택400캅셀), 이연제약(코나브이정), 일양약품(프리노캅셀, 메디노스시럽), 조아제약(콜콜캅셀, 아이비콜시럽), 중외제약(화콜에이캅셀, 화콜에프캅셀, 화아니시럽, 화콜에프시럽, 화아니캅셀, 화콜골드캅셀, 두리코푸캅셀, 리노콜캅셀),청계제약(코돌핀연질캅셀), 코오롱제약(마브린캅셀, 코뚜시럽, 코뚜정, 슬리미캅셀,코니정, 캐치콜캅셀, 코뚜에스정, 캐치콜시럽, 코뚜에이시럽), 크라운제약(나시트릴정, 해소민에스시럽), 하나제약(코비단정), 한국비엠에스제약(콤트렉스코프연질캅셀), 한국슈넬제약(남바콜정, 탑콜에프캅셀, 리노시럽, 리노비코정, 다나코비시럽), 한국와이어스(디메탑정(Dimetapp Tablets), 디메탑연질캅셀(Dimetapp Liqui-Gels)),한국위더스제약(소아용비나콜연질캅셀, 샌디정), 한국유나이티드제약(코프린정), 한국이텍스(페브로민엘릭실, 페브로민정), 한국파마(플루펜정(수출명 플루펜정), 아기코프시럽), 한림제약(휘가캅셀, 테미콜정, 테미콜엘릭실, 코스펜시럽, 써스펜콜드캅셀), 한성제약(코트렉스캅셀), 한영제약(코나민정), 한일약품공업(카나벤캅셀, 오노캄정, 코가비시럽), 행림약품(행림염산페닐푸로판올아민), 현대약품공업(시노카캅셀,시노카시럽, 무스콜캅셀), 현창제약(콘콜드캅셀), 화덕약품(화덕페닐프로파놀아민),화원약품(염산페닐프로판올아민), 휴온스(포스림캅셀)
'건강하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기본 장기마사지]배가 편해지는 15분 셀프 장기마사지 (0) | 2014.08.25 |
---|---|
[스크랩] 선(仙)체조 (0) | 2014.08.25 |
국선도 수련에 관하여 (0) | 2010.02.08 |
[스크랩] 청국장을 말한다(이승환/농민신문) (0) | 2009.11.26 |
이명에 대한 고불선생 의견 (0) | 2009.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