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층의 생활한복에 대한 의식 조사
생활한복 대중화, 국민의식 변화 선결되어야
자료제공:인텔리서치
정리 : 권혁주/책임연구원
전통 문화에 특별히 관심이 있거나 개성이 강한 일부 사람들만의 전유물로 여겨지던 생활한복이 요즘 나이와 성별을 넘어서 일상복으로 이용되면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실용성과 현대적 멋을 가미한 생활한복은 특별한 날에만 입는 값비싼 전통한복과 달리 저렴한 가격과 자연소재의 색감으로 인해 평소에도 부담없이 입을 수 있는 편이다. 여기에 중소업체 중심의 생활한복 시장에 최근에는 대기업의 참여도 늘어 시장 확대도 예측된다. 이에 이번 호에서는 젊은층의 생활한복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조사는 1998년 8월 14일부터 8월 28일까지 PC통신 KITEL의 10∼30대 이용자를 대상으로 온라인리서치 방식으로 조사되었으며, 조사 참여 인원 총 650명 가운데 유효 응답자 625명을 대상으로 그 응답내용을 분석하였다(표 1). 조사 내용으로 한복에 대한 생각, 생활한복에 대한 느낌, 우리 옷 입기 운동에 대한 공감 여부, 생활한복 착용 의향 등을 살펴 보았다.
한복 ‘우리 고유의 옷이지만, 명절 등 특별한 날에만 입는 불편한 옷’
먼저 「한복하면 떠오르는 생각」을 질문한 결과, 우리 고유의 옷(25.4%), 명절·제사(12.8%), 불편하다(11.2%), 아름답다(5.4%), 우아하다(3.7%) 순으로 대체로 한복은 우리 민족 고유의 옷이지만, 명절 등 특별한 날에만 입는 옷이며, 불편하다는 인식이 젊은층 사이에서 일반적으로 자리잡고 있었다(표 2).
이들에게 민간단체를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는 우리 옷 입기 운동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는지를 질문한 결과, 들어본 적이 있다는 응답자가 69.9%로 높은 편이었으며, 특히 나이가 많을수록(30세이상:87.5% 20대후반:83.0% 〉 20대전반:78.0% 〉 10대후반:65.7% 〉 10대전반:59.1%) 인지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응답자의 대다수인 90.7%가 이러한 「우리 옷 입기 운동」의 취지에 공감한다고 응답하였다.
특히 20대 연령층(94% 이상)의 공감 비율이 상당히 높게 나타났으며, 여성(94.2%), 대학생(93.4%), 직장인(94.3%)의 경우에도 공감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그러나, 「우리 옷 입기 운동」의 성공가능성에 대해서는 54.7%만이 「성공할 것」이라고 응답한 반면 45.3%가 「실패할 것」이라고 응답해 「우리 옷 입기 운동」의 성공 가능성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전망과 부정적인 전망이 혼재되어 있는 가운데, 긍정적인 전망이 다소 우위를 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특성별로 살펴보면, 20세 이상 연령층(67%이상)과 대학생(58.7%), 직장인(73.6%)의 경우 성공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전망하는 비율이 높은 반면 중고등학생(48.3%)의 경우에는 긍정적인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그림 1).
생활한복에 대한 느낌은 긍정적
다음으로 응답자들에게 거리 등에서 생활한복을 입은 사람을 본 적이 있는지를 질문한 결과, 응답자의 73.1%가 「본 적이 있다」고 응답해 생활한복이 상당히 대중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생활한복에 대한 호감 정도를 알아보고자 생활한복을 입은 사람을 본 적이 있다는 457명에게 당시의 느낌을 질문한 결과, 「보기 좋았다」(20.8%), 「편안해 보였다」(9.2%), 「멋있다」(8.5%), 「나도 입고싶다」(5.9%), 「특이하다」(5.5%)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분류해 보면, 부정적인 응답은 14.9%에 불과한데 비해 긍정적인 응답이 63.9%로 나타나 생활한복을 접해본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긍정적인 느낌을 받은 것으로 조사되었다(표 3).
이러한 결과는 앞서 한복하면 떠오르는 생각이 「우리 고유의 옷」(25.4%), 「명절·제사」(12.8%), 「불편하다」(11.2%), 「아름답다」(5.4%) 순이었던 것과 비교해 보면,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특히 「보기 좋았다」, 「편안해 보였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난 것을 고려해 볼 때 생활한복이 「우리 고유의 옷이지만, 평상복으로 입기에는 불편하다」는 한복의 단점을 상당 부분 극복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생활한복 대중화 위해서는 국민들의 의식 변화가 우선
생활한복이 대중화되기 위한 요건으로 28.2%가 「국민들의 의식 변화」를 우선적으로 꼽았으며, 다음으로 「저렴한 가격」(23.4%), 「편리함」(23.2%), 「디자인」(22.9%) 순으로 지적되었다(그림 2). 연령별로는 20대 전반층의 경우 각 요건들을 지적한 비율이 비교적 고른 반면에 20대 후반과 30세 이상의 경우에는 「저렴한 가격」(20대 후반 42.6%/30세 이상 41.7%), 「디자인(20대 후반 23.4%/30세 이상 37.5%) 순으로 나타나 구매력이 있는 20대 후반 이상 연령층의 경우 「가격」과 「디자인」을 지적한 비율이 높았다. 또한 소속별로도 대학생의 경우 각 요건들을 지적한 비율이 비교적 고른 반면에 직장인의 경우에는 「저렴한 가격」(41.5%), 「의식변화」(24.5%), 「디자인」(17.0%), 「편리함」(17.0%) 순으로 나타나 구매력이 있는 직장인의 경우 「가격」과 한복에 대한 「의식변화」를 지적한 비율이 높았다. 이를 볼 때, 구매력이 있는 계층의 경우 생활한복이 대중화되기 위한 요건으로 「저렴한 가격」을 공통적으로 꼽고 있으며, 양복이 근무복으로 일반화되어 있는 직장인의 경우「의식변화」를 꼽은 비율이 타계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응답자 82%, 생활한복을 입어볼 의향 있어
한편, 생활한복을 교복으로 입는 것에 대해서도 응답자의 79.8%가 「편리성과 디자인이 괜찮다면 교복으로 입어도 좋다」고 응답해 예상외로 생활한복에 대한 태도가 상당히 호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3). 특히 대학생(87.4%)과 고등학생(80.4%)의 경우 긍정적인 비율이 상당히 높은 편이다. 그러나, 중학생의 경우에는 55% 만이 「괜찮다」고 응답, 타 계층에 비해 긍정적인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나, 현재 대부분의 중고등학교가 교복을 착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생활한복의 교복화에 대해서는 고등학생과 중학생들 간에 상당한 의견 차이가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생활한복을 입어볼 의향을 질문한 결과, 응답자의 82.2%가 입어볼 의향이 있다고 응답해 생활한복의 교복화와 마찬가지로 예상외로 생활한복에 대한 태도가 호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4). 남성(81.0%)에 비해서는 여성(88.3%)의 의향률이 높은 편이며, 20대 이상 연령층의 경우 착용 의향률이 87.0% 이상인데 비해 10대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며, 특히 10대 전반층의 경우에는 의향률이 59.1%로 가장 낮았다.
생활한복을 입어볼 의향이 있다는 응답자 514명에게 「주로 어떤 용도로 생활한복을 입을 것인지」를 질문한 결과, 평상복(37.9%), 예복 및 행사복(28.4%), 외출복(27.0%) 순으로 나타났다(그림 5). 평상복의 경우에는 남성(40.9%), 대학생(36.9%), 외출복의 경우에는 여성(31.9%), 20대후반(47.7%), 30세이상(57.1%), 직장인(50%), 행사복의 경우에는 10대 후반(32.4%) 등으로 계층별로 입고 싶은 스타일에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를 볼 때, 연령별로 선호하는 스타일에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생활한복의 대중화를 위해서는 연령대별로 스타일을 차별화하는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반면, 생활한복을 입어볼 의향이 없다는 응답자 111명에게 그 이유를 질문한 결과, 「튈 것 같아 창피해서」(27.9%), 「불편해서」(24.3%), 「생활화되지 않아서」(9.9%), 「멋이 없어서」(6.3%), 「특별한 날에만 입는다는 고정관념 때문에」(4.5%) 등을 꼽았다(표 4). 이는 앞서 생활한복이 대중화되기 위한 요건으로 28.2%가 「국민들의 의식 변화」를 꼽았던 것과 그 맥을 같이하는 것으로서, 생활한복 시장이 더욱 확대되기 위해서는 실용성과 현대적인 멋을 담아내어 생활한복이 더 이상 옛 것이 아니라는 인식을 확산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한복공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오묘한 색 옷 지어 세계를 입히겠어 (0) | 2006.07.08 |
---|---|
[스크랩] 설빔 ‘한복은 없다’…폐업속출·대여점 전환 (0) | 2006.07.08 |
[스크랩] 생활한복 불자의 옷‘자리매김’ (0) | 2006.07.08 |
[스크랩] 염색식물 사진자료 (0) | 2005.12.23 |
[스크랩] 패턴 작성시 꼭 체크해야 할 것들-1 (0) | 2005.10.05 |